반응형 제로베이스9기3 컴퓨터 구조 - 가산기란 무엇인가? 논리게이트로 만드는 가산기, 반가산기 게이트를 사용하면서 하드웨어 설계 과정이 아주 단순해졌다. 작은 프로그램을 조합해 더 크고 복잡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들어 내는 것처럼, 게이트 조합으로 만든 고수준의 기본 기능 요소를 사용해 더 고수준의 부품을 만들 수 있다. 2의 보수 덧셈 가간기를 만들어 볼 수 있다. 가산기를 직접 설계할 필요는없겠지만, 논리를 영리하게 조작할 경우 성능을 얼마나 많이 향상 할 수 있는지 볼 수 있다. 먼저 가산기는 논리연산 불리언 대수와 이진수로 이루어지는걸 볼 수 있다. 논리연산 - 불리언대수 논리 연산은 예/아니요 질문에 대한 답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때 "예"를 참, true라는 용어로 부르고 "아니요"를 거짓, false라고 부른다. 자연어에서 예와 아니요 구절을 엮어서 한 문장으로 만드는 경우는 자주있다.. 카테고리 없음 2022. 12. 18. 비트로 문자와 숫자표현 이해하기 그리고 논리 GATE 컴퓨터는 전기를 끄고, 킨다! 이 두가지만으로 컴퓨터는 동작한다. 매우 작은 기능이라도, 응용을 통해 매우 큰 기능을 만들 수 있는것이다. 빨강머리앤을 예시로 들자면, 빨강머린 이야기 중 빨간머리애는 사는곳 그리고 친구가 사는곳이 멀리 떨어져 있었다. 그 당시에는 전화가 없었다. 그래서 그 둘이 만나기 위해 중간에 얘기하고 싶은게 있다면,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촛불을 켜두면 촛불을 깜빡일것이다 라고 앤이 제안했다. 한번이면 만나고 두번이면 밥먹었냐 세번이면 얘기할것이 많아 중간 지점으로 와서 만나자는 이야기가 있다. 촛불이라는 신호 하나로 여러가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것이다. 이것을 바로 코드로 볼 수 있다. 전반적인 컴퓨터는 0과 1이라는 신호 하나로 의미를 부여해서 코드로 동작을 시키는 것이다. 0.. 카테고리 없음 2022. 12. 17. 컴퓨터 기본 구조(Scratch) : CPU, Memory, IO Devices 비전공자, 국비지원으로 수업을 듣지만 코드를 작성하고 돌아가는 원리에 대해 궁금할 때가 많다. 특히 자바라는 언어에서 메모리구조에 관련해 나올때가 그렇다. 그 메모리리는 또 어디에 있고 어떻게 작동되는것인가. 궁금하기도 하다. 학원에서는 아무래도 당장 취업을하고 현업에 가서 쓸 수 있는 기술을 이런걸 알려주지 않는다. 그리고 국비지원 6개월이라는 시간동안 컴퓨터공학 기초 지식 부터 하나하나 쌓아주기에 양이 방대해 어렵다는 것이다. 그런데 컴퓨터 공학은 It기술을 쓰며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한다. 최근들어서도 하나의 기술을 써도 컴퓨터 공학과 연관성이 있다고 느껴서 오늘부터는 하루에 하나씩 컴퓨터 공학 지식을 쌓아 나가고자 한다. 그러면 아무리 비전공자여도 꾸준히 하다보면 it로 나아가려는 사람답게 지식이 .. 카테고리 없음 2022. 12.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