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컴공지식2 HTTP 프로토콜 HTTP TCP/IP에 있는 다른 많은 프로토콜과 마찬가지로 HTTP도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통신을 한다. 텍스트와 이미지 등과 같은 리소스를 필요하다고 요구하는 쪽이 클라이언트가 되며, 리소스를 제공하는 쪽이 서버가 된다. 2대의 컴퓨터 간에 통신을 하는 경우, 한 번 통신을 할 때 마다 반드시 어느 한 쪽은 클라이언트가 되고 다른 한쪽은 서버가 되는 것이다. Request & Response 클라이언트와 서버스는 리퀘스트와 리스폰스를 교환하여 성립한다. 클라이언트로부터 리퀘스트(요청)가 송신되며 그 결과는 서버로부터 리스폰스(응답)로 되돌아온다. 클라이언트 측으로 부터 통신이 시작이되며 서버 측은 리퀘스트를 받지 않고서는 리스폰스를 송신하는 일이 없다. 서버 측은 리퀘스트를 수신하지 않으면 리스폰스.. 컴공지식/네트워크 2023. 7. 30. URI/URL URL - Unifrom Resource Locator 웹 브라우저 등으로 웹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 입력하는 주소이다. 특정 리소스의 위치를 지정한다. 예를 들면, "https://www.example.com/index.html"과 같은 인터넷 주소가 URL에 해당된다. URI - Uniform Resource Identifiers URI는 리소스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두 가지 주요 서브 타입은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URN입니다. *URN (Uniform Resource Name): 리소스의 이름을 지정하며, 리소스의 위치에 독립적입니다. 예를 들어, "urn:isbn:0451450523"은 ISBN(국제 표준 도서 번호)을 식별하는 .. 컴공지식/네트워크 2023. 7. 30. 이전 1 다음